반응형

봄꽃 3

매화·변산바람꽃·노루귀, 한파에도 꿋꿋하게 피는 꽃들

일주일 전쯤 한파에도 복수초가 피었다는 소식을 전해드렸는데 요즘엔 복수초만이 아닙니다. 아침 최저 기온이 영하 7도 안팎의 한파를 보이는 요즘 다른 야생화들도 하나둘씩 꿋꿋하게 피고 있습니다. ^^ 먼저 지인은 납매 개화 소식을 전했습니다. 18일 부산 남구 대연수목원에서 보았다고 했습니다. 중국이 원산지로, 관상용으로 공원·화단에 많은 심는 나무입니다. 아래 사진은 몇년전 만난 천리포수목원 납매입니다. ^^  납매는 섣달을 뜻하는 한자 ‘랍(臘)’과 매화를 뜻하는 ‘매(梅)’가 합쳐진 이름입니다. 그러니까 음력 12월, 양력으로는 1월쯤 피는 매화라는 뜻입니다. 천리포수목원, 전주수목원 등은 매년 1월 중순이면 납매 개화 소식을 전합니다. 납매는 겨울에 피는 꽃이라 달콤하면서도 맑은 향기를 가졌습니다...

꽃이야기 2025.02.20

화사한 꽃 깽깽이풀, 왜 이런 이름 가졌을까?

지난 주말 세종시 금강수목원에 갔더니 깽깽이풀이 한창이었습니다. 깽깽이풀은 꽃도 예쁘지만 이름이 특이해서 한번 보거나 들으면 잊기 어려운 꽃입니다. ^^ 이 수목원에는 곳곳에 깽깽이풀을 많이도 심어 놓았습니다. 깽깽이풀은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어느 봄날 붉은 땅을 뚫고 갑자기 연보라빛 꽃망울을 내밀고 마침내 꽃잎을 펼치면 감탄이 절로 나올만큼 예쁩니다. ^^ 더구나 막 피어나 싱싱한 깽깽이풀을 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개화기에 비가 내리거나 바람이 심하게 불면 꽃잎이 쉽게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 이 꽃은 전국에 자생지가 20 여 곳에 불과할 정도로 귀한 꽃입니다. 약간 습기가 있고 반그늘인 곳을 좋아하는 등 자생 조건이 까다로운 편인데다 꽃이 아름다워 캐가는 사람들이 많기 때..

꽃이야기 2023.03.30

다윈이 노란 유채꽃 보았다면 고민 컸을 것 ^^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2월 4일)이 지나자 제주도 등에서 유채꽃이 활짝 피었다는 소식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물론 빠르면 1월에도 노란 유채꽃이 벌판을 뒤덮은 사진이 나오기도 하죠. 역시 제주도 봄을 상징하는 것은 유채꽃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 유채(油菜)에서 '유(油)'는 기름을, '채(菜)'는 나물을 뜻합니다. 이름처럼 유채는 기름을 만들기 위한 용도로 주로 재배한 식물입니다. 유채씨는 기름 함유량이 30~50%에 달해 해바라기·콩 같은 식물보다 더 많은 기름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 과학사 관점에서 보면, 유채는 다윈의 진화론에 수정을 가한 식물로 중요하다고 합니다. 다윈 진화론은 새로운 종이 이종교배로 나올 수 없고 자연선택의 결과로만 탄생한다는 것이었습니다. ^^ 본래 유채는 배추..

꽃이야기 2023.02.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