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형과 2

창포와 궁궁이, 단옷날 기억해야할 식물 ^^

오늘(6월10일)은 음력으로 5월5일, 단오입니다. 단옷날 기억해야할 식물이 창포 말고 하나 더 있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 먼저 단오와 창포의 관계는 비교적 잘 알려져 있죠. 단오에 창포를 베어다 뿌리와 함께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이 잘 희어지지 않고, 잡귀를 쫓을 수 있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단오 즈음에 창포물에 머리 감기 풍습을 시연하는 행사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창포를 고를 때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창포는 꽃창포, 노랑꽃창포, 석창포 등과 잎 모양이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  꽃창포, 노랑꽃창포는 붓꽃과 아이리스(Iris)속 식물이고 창포와 석창포는 천남성과여서 서로 과(科)까지 다릅니다. 창포로 머리 감기하는 사진을 보면 식물에 노랑꽃창..

꽃이야기 2024.06.10

향긋한 봄나물, 참취·참나물은 어떤 차이? ^^

지난 주말 가족 모임으로 서울대공원 둘레길을 돌았습니다. 청명한 가을 하늘 아래 구절초 등 가을꽃들이 하나둘 피기 시작하는데, 참취는 이미 하얀 꽃이 한창이었습니다. ^^ 사실 참취는 꽃 이전에 나물입니다. 이름에 ‘취’ 또는 ‘나물’이 들어가면 먹을 수 있다는 뜻이죠(물론 예외가 있습니다. 동의나물 등은 독성이 있어서 먹으면 큰일납니다). 그런 취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 최고의 나물이라고 이름에 ‘참’ 자가 붙은 것이 참취입니다. 참나무도 나무 중에서 최고 나무라는 뜻이고, 참나리도 나리 중 대표적인 나리라는 뜻입니다. ^^ 그래서 참취를 그냥 ‘취나물’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우리가 먹는 부분은 어린 심장형 잎을 잎줄기까지 딴 것입니다. 봄에 잎을 먹기도 하고, 삶아서 말려두었다가 먹는, 그러니..

꽃이야기 2020.09.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