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2 7

올해는 벚꽃·진달래·생강나무꽃 언제 필까?

올해는 벚꽃·진달래·생강나무꽃이 언제쯤 필까요? 산림청이 산에서 봄을 가장 먼저 알리는 생강나무, 진달래, 벚나무의 개화 시기를 담은 봄철 꽃나무 개화 예측지도를 내놓았습니다. 올해 개화 시기가 지난해보다 다소 늦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올겨울 추운 날씨 때문입니다. 지난해 겨울(12월~2월) 평균기온은 0.7도로 평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답니다. 그런데 올겨울 평균기온은 -1.8도로 지난해보다 2.5℃ 낮아져 개화가 늦어질 것이라고 합니다.  산림청은 주요 국립공원과 주요 공립수목원의 개화 지도를 내놓았습니다. 서울에서 가까운 오산 물향기수목원의 경우 생강나무는 3월22일, 진달래는 4월1일, 벚꽃은 4월 4일 개화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나무 별 만개 시기는 생강나무는 3월 26일, 진달래는 4월 4일..

나무이야기 2025.02.26

요즘 꽃 피는 산쪽풀 “왜 난 소개 안해주나요?” ^^

요즘 남녘에서 수선화, 복수초, 매화, 변산바람꽃 등 개화 소식이 잇따라 들려오고 있지만 산쪽풀도 요즘 남쪽 지방에서 피는 꽃 중 하나입니다. 산쪽풀이 “나는 왜 한번도 소개하지 않느냐”고 입을 내밀고 있는 것 같아 오늘 소개하려고 합니다. ^^ 산쪽풀도 봄에 피어나는 식물 중 개화 시기가 빠른 식물입니다. ^^ 남쪽 지방에서는 2월초부터 피기 시작해 4월초까지도 볼 수 있는 야생화입니다.  대극과 식물로,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줄기는 흰색이지만 마르면 자줏빛을 띠며 옆으로 벋어서 번식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남, 전남, 제주도 등 남부지방에 자라며 일본·타이완 등에도 분포한다고 합니다. 제가 산쪽풀을 처음 본 것은 몇 년전 수선화를 보러 거문도에 갔을 때였습니다. 거문도 수선화를 보러 가려면 선..

꽃이야기 2025.02.24

매화·변산바람꽃·노루귀, 한파에도 꿋꿋하게 피는 꽃들

일주일 전쯤 한파에도 복수초가 피었다는 소식을 전해드렸는데 요즘엔 복수초만이 아닙니다. 아침 최저 기온이 영하 7도 안팎의 한파를 보이는 요즘 다른 야생화들도 하나둘씩 꿋꿋하게 피고 있습니다. ^^ 먼저 지인은 납매 개화 소식을 전했습니다. 18일 부산 남구 대연수목원에서 보았다고 했습니다. 중국이 원산지로, 관상용으로 공원·화단에 많은 심는 나무입니다. 아래 사진은 몇년전 만난 천리포수목원 납매입니다. ^^  납매는 섣달을 뜻하는 한자 ‘랍(臘)’과 매화를 뜻하는 ‘매(梅)’가 합쳐진 이름입니다. 그러니까 음력 12월, 양력으로는 1월쯤 피는 매화라는 뜻입니다. 천리포수목원, 전주수목원 등은 매년 1월 중순이면 납매 개화 소식을 전합니다. 납매는 겨울에 피는 꽃이라 달콤하면서도 맑은 향기를 가졌습니다...

꽃이야기 2025.02.20

홍릉숲 복수초, 이 한파에도 2주 빨리 개화!

서울 홍릉숲의 복수초가 입춘(立春)인 지난 3일 개화했다고 합니다. ^^ 평년(1991∼2020년) 개화일이 2월 18일인데 약 2주 가까이 빠르게 개화한 것입니다.  저도 나름 홍릉숲 복수초가 언제 피나 관심을 갖고 있었는데, 방심하는 사이 벌써 개화했다는 소식이 들려온 것입니다. 1985년 관측을 시작한 이래 열 번째로 빠른 개화라고 합니다. ^^ 특히 최근 상당한 한파가 몰아쳤는데도 복수초는 예년보다 2주 가까이 빨리 피었다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복수초는 개화 직전 20일간의 기온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산림과학원은 올해 한파가 있었지만 1월 평균기온은 평년 기온보다 1.5도 높아 개화 시기가 앞당겨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홍릉숲에 있는 국립산림과학원이 홍릉숲 복수초 개화..

꽃이야기 2025.02.13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바나나꽃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 -대만벚꽃·겹매화·목서,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1  -알로카시아·판다누스,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2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바나나꽃    지난 설 연휴에 대만 타이베이에 다녀왔습니다. 우리나라와 달리 대만은 1월말인데도 이른봄 꽃들이 만발해 있었습니다. 오늘은 세차례로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바나나꽃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 타이베이 근교 예스진지(예류, 스펀, 진과스, 지우펀) 중 한 곳인 진과스(金瓜石)에서 바나나 꽃을 보았습니다. ^^ 바나나는 열대·아열대 지방에서 재배하는 식물로, 영상 5도 이하로 내려가면 피해를 입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같이 서리가 내리는 온대지역에서는 노지 생육이 불가능합니다.  일부 농가에서 온실에서 가꾸긴 하지만, 일반인들은 ..

꽃이야기 2025.02.05

알로카시아·판다누스,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2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 -대만벚꽃·겹매화·목서,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1  -알로카시아·판다누스,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2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바나나꽃   알로카시아 판다누스 흰도깨비바늘 산세베리아 웨델리아(미국갯금불초) . 우리나라와 달리, 대만은 1월말인데도 이른봄 꽃들이 만발해 있었습니다. 세차례에 걸쳐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을 전해드립니다. ^^> 오늘은 주로 예스진지(예류, 스펀, 진과스, 지우펀) 버스 투어 중 만난 꽃들입니다. ^^ 먼저 대만 숲에는 알로카시아(Alocasia)가 굉장히 많았습니다. 알로카시아는 천남성과에 속하는 열대성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서는 화분에 심어 실내에서 키우는 식물 중 하나입니다.  알라카시아는 크고 넓은 잎이 특징이죠. 이 잎..

꽃이야기 2025.02.03

대만벚꽃·겹매화·목서,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1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 -대만벚꽃·겹매화·목서,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1  -알로카시아·판다누스,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2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바나나꽃   대만벚나무 매화 목서 부겐빌레아 설 연휴에 대만 타이베이에 다녀왔습니다. 우리나라와 달리 대만은 1월말인데도 이른봄 꽃들이 피어 있었습니다. 오늘부터 세차례에 걸쳐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꽃들을 전해드립니다. ^^ 먼저 대만벚나무입니다. 타이베이 시내와 예스진지(예류, 스펀, 진과스, 지우펀) 등 곳곳에서 진분홍 대만벚나무가 핀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  지난해 2월부터 이 꽃 사진이 자주 언론에 나오면서 ‘홍벚꽃’이라고 소개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 나무가 국내에도 본격 진출한 겁니다. 그런데 ‘홍벚꽃’이라는 꽃 이름..

꽃이야기 2025.02.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