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들메나무 3

상수리·물박달·소나무 장기는? 뛰어난 ‘탄소 흡수’ 능력

나무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몇 세대에 걸쳐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전 세계가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 나무를 심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 그럼 어떤 나무가 탄소 흡수 효과가 뛰어날까요? 국립공원공단이 2023년부터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식물별 연평균 탄소 흡수량을 조사한 결과, 연평균 탄소 흡수량이 가장 높은 수목은 상수리나무였습니다. ^^ 상수리나무는 1그루당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연평균 30.12㎏의 탄소를 흡수했습니다. 이어 물박달나무(21.51㎏), 소나무(20.07㎏) 등 순이었습니다.  졸참나무(20.04㎏), 들메나무(19.01㎏), 갈참나무, 곰솔, 떡갈나무, 가래나무, 굴참나무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들 10가지 수목은 다른 나무에 비해 평균 2배 이상 탄..

나무이야기 2025.04.05

물푸레-들메-물들메 나무 3형제, 겨울눈으로 구분하기

물푸레나무는 참 재미있는 나무입니다. 이름 자체가 나뭇가지를 물에 담가 놓으면 물이 푸르게 변한다고 붙은 이름입니다. ^^ 용도도 다양한 나무입니다. 잘 휘면서도 힘이 좋고 단단해 산에 고목이 별로 없을 정도로 사랑받은 목재라고 합니다. 요즘도 야구방망이와 같은 운동기구, 고급 가구재 등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고 합니다. ^^  물푸레나무는 들메나무, 물들메나무와 3형제를 이룹니다(쇠물푸레나무도 있지만 작은잎 등으로 금방 구분 가능). 먼저 들메나무입니다. 들메나무는 강원도 등 백두대간 지역에서 주로 만날 수 있는데, 하늘로 곧게 뻗은 수형이 인상적이죠  ^^ 물푸레나무와 비슷하지만 더 많은 겹잎(9~11개)이 마주달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이름을 반반 사이좋게 나눠받..

나무이야기 2024.11.01

계방산에서 만난 '굳고 정한' 갈매나무

‘남(南)신의주 유동 박시봉방’은 시인 백석(1912~1996)이 1948년 남한 문단에 마지막으로 발표한 시입니다. 이 시의 마지막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백석이 해방 직후 만주를 헤매다 신의주에 도착했을 즈음 쓴 시라고 합니다. 백석은 이 시에서 절망적인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외롭게 눈을 맞고 서 있는 갈매나무로 표현했습니다. 신경림 시인은 책 ‘시인을 찾아서’에서 “이 갈매나무야말로 백석의 모든 시에 관통하는 이미지”라고 극찬했습니다. ^^ 갈매나무가 얼마나 대단한 나무이기에 백석이 드물다, 굳다, 정하다 등 형용사를 세 개나 붙였을까요? 갈매나무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도 높이 5m까지 자란다고 소개한, 그리 크지 않은 나무입니다. 암수가 다른 나무인데, 5~6월 작은 황록색 꽃이 피고 가을에 콩..

나무이야기 2021.06.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