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땅비싸리 2

청바지 염료 낭아초·큰낭아초 구분해볼까요?

산 입구 등에서, 주로 땅을 파헤쳤다가 복구한 절개지에서 큰낭아초를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싸리 비슷한데 꽃대가 위로 뾰족하게 솟아 붉은색 꽃이 피는 나무가 큰낭아초입니다. 요즘도 꽃이 좀 남아 있죠? 우리가 흔히 보는 큰낭아초는 사실 중국 원산입니다. 키가 2m에 달하는데, 도로변이나 공원 또는 절개지의 녹화용으로 도입해 심은 식물이라고 합니다.  낭아초(狼牙草)라는 이름은 ‘이리의 송곳니 풀’이라는 뜻으로, 꽃차례가 끝이 가늘고 날카로워 붙여진 이름 같습니다. ^^ 이름에 ‘초(草)’자가 들어가서 풀인 듯 싶지만 목질이 잘 발달한 나무입니다.  그냥 낭아초는 제주도와 남해안, 영호남 지역에서 자라는 자생종으로 키가 작고 바닥을 기는 듯 작은 식물입니다. 보통 30~60cm 정도로 자라며 비스듬히 누..

나무이야기 2024.09.06

간단하게 싸리 나무 종류 알아보는 방법

요즘 산에 가면 어디나 홍자색 꽃이 핀 싸리가 한창입니다. 싸리는 콩과 식물답게 뿌리를 통해 공기 중 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있어서 메마른 토양에서도 잘 자랍니다. 싸리가 흔한 것과 마찬가지로 싸릿골·싸릿재 같이 싸리가 들어간 지명도 많고, 저 어릴 적만 해도 싸리로 만든 빗자루, 싸리로 만든 사립문도 흔했습니다. 싸리가 우리 생활에 밀접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입니다. 싸리 꽃에는 꿀이 많아 밀원식물로도 중요하다고 합니다. 싸리 나무는 수분이 적어 불을 지펴도 연기가 잘 나지 않는 나무로도 유명합니다. 청미래덩굴, 때죽나무, 붉나무도 연기가 적게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을 보면 빨치산 정하섭이 찾아왔을 때 소화가 연기가 나지 않도록 싸리나무로 밥을 짓는 장면이 나옵니다...

꽃이야기 2020.07.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