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변산반도 2

매화·변산바람꽃·노루귀, 한파에도 꿋꿋하게 피는 꽃들

일주일 전쯤 한파에도 복수초가 피었다는 소식을 전해드렸는데 요즘엔 복수초만이 아닙니다. 아침 최저 기온이 영하 7도 안팎의 한파를 보이는 요즘 다른 야생화들도 하나둘씩 꿋꿋하게 피고 있습니다. ^^ 먼저 지인은 납매 개화 소식을 전했습니다. 18일 부산 남구 대연수목원에서 보았다고 했습니다. 중국이 원산지로, 관상용으로 공원·화단에 많은 심는 나무입니다. 아래 사진은 몇년전 만난 천리포수목원 납매입니다. ^^  납매는 섣달을 뜻하는 한자 ‘랍(臘)’과 매화를 뜻하는 ‘매(梅)’가 합쳐진 이름입니다. 그러니까 음력 12월, 양력으로는 1월쯤 피는 매화라는 뜻입니다. 천리포수목원, 전주수목원 등은 매년 1월 중순이면 납매 개화 소식을 전합니다. 납매는 겨울에 피는 꽃이라 달콤하면서도 맑은 향기를 가졌습니다...

꽃이야기 2025.02.20

변산바람꽃, 너도바람꽃, 나도바람꽃

변산바람꽃에 이어 요즘엔 너도바람꽃 시즌입니다. 너도바람꽃 사진이 소셜미디어 등에 많이 올라오고 있죠. 오늘은 변산바람꽃, 너도바람꽃, 나도바람꽃 등 세 자매 이야기입니다. ^^ 먼저 변산바람꽃은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대표적인 꽃입니다. 찬바람이 채 가시지 않은 2~3월에 핍니다. 변산반도에서 처음 발견돼 이같이 낭만적인 이름이 붙었지만, 요즘엔 거의 전국에서 발견되고, 수도권에서도 군포·안양에 있는 수리산에서 군락지를 볼 수 있습니다. ^^ 비교적 단순한 다른 바람꽃과 달리 연두색 암술, 연한 보라색 수술, 초록색 깔때기 모양 기관 등까지, 꽃이 볼거리로 가득 차 있습니다. 꽃잎처럼 보이는 하얀 잎 다섯 장은 사실 꽃받침이고, 꽃술 주변을 둘러싼 깔때기 모양 기관 열 개 안팎은 퇴화한 꽃잎이라니 정말..

꽃이야기 2024.03.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