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향나무 3

마곡사 향나무, 백범 김구가 심은 나무 현재 모습은?

지난주 고향에 갔다 상경하는 길에 공주 마곡사에 들렀습니다. 이 절에 있는 백범 김구가 심은 향나무를 보기위해서였습니다. ^^ 김구 선생은 1896년 명성황후 시해에 대한 분노로 황해도 치하포 나루에서 일본인을 살해하고 인천형무소에서 옥살이를 하다가 탈옥합니다. 그리고 마곡사에 은거하다 1898년 원종(圓宗)이라는 법명으로 출가했습니다. 백범은 마곡사에서 6개월을 보내는 등 2년여 산중생활을 하다 자연스럽게 환속해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고 합니다. 그 이후 이야기는 굳이 다시 언급할 필요가 없겠지요. 김구 선생은 중국에서 임시정부를 이끌다 해방 후 환국해 1946년 마곡사를 방문해 향나무를 심었습니다.  김구가 기념식수한 향나무는 백범당이라는 건물 옆에 있습니다. 선생이 출가해 기거했던 건물을 복원한 것이..

나무이야기 2024.09.13

춘천시민들이 부러운 이유, 도립화목원 ^^

강원도립화목원은 춘천에 가면 빠뜨리지 않고 들르는 곳입니다. 너무 넓지도 작지도 않은 딱 적당한 크기입니다. ^^ 얼마전 춘천역에서 내려 자전거로 의암댐~신매대교~소양댐막국수거리를 돈 다음 강원도립화목원에 들렀습니다. 무슨 꽃이 피었는지 사전 조사를 하지 않고 갔지만 역시 도립화목원은 볼거리가 적지 않았습니다. ^^ 가장 먼저 눈길을 끈 것은 아직도 화려한 백당나무 열매였습니다. 백당나무는 전체 꽃덩이 가장자리에 곤충을 부르는 역할을 하는 무성화가 있고, 안쪽에 실제 꽃가루받이를 해서 열매를 맺는 유성화가 있는 특이한 구조를 가졌습니다. ^^ 화목원에 그 열매가 겨울을 다 지나고도 남아있는 것입니다. 다음은 복수초였습니다. 아직 초봄이라 수목원 외부엔 유일하게 핀 꽃 같았습니다. ^^ 복수초 중에서도 줄..

꽃이야기 2022.03.11

향나무 가이즈카향나무 노간주나무 차이는?

오늘은 향나무, 가이즈카향나무, 노간주나무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이야기하겠습니다. ^^ 이걸 얘기하려면 먼저 ‘바늘잎’과 ‘비늘잎’이라는 용어를 설명해야 합니다. 잎이 바늘처럼 끝이 뾰족한 것이 바늘잎(침엽), 작은 잎들이 비늘처럼 포개어져 달린 것이 비늘잎(인엽)입니다. 향나무 잎은 이 두 가지가 함께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5년 이상쯤 묵은 가지에는 비늘잎이 달리지만, 어린 나뭇가지에는 뾰족한 바늘잎이 달립니다. 그래서 향나무에는 바늘잎과 비늘잎이 둘 다 있는 것입니다. 향나무 열매는 둥근 형태인데, 처음에는 녹색이나 회청색을 띠다가 다음해 9~10월 흑자색으로 익습니다. 열매가 2년에 걸쳐 익는 것입니다. 향나무 비슷한데 거의 부드러운 비늘잎만 있는 나무가 있습니다. 일본 가이즈카 박사가 ..

나무이야기 2020.12.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