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도 요즘 노란 산수유 꽃이 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화단이나 공원에서 노란색 꽃이 언뜻언뜻 보이면 산수유 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그런데 반가운 마음에 산수유 꽃 사진을 찍으면 당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멀리서 보기 좋았는데 가까이 가보면 좀 휑한 느낌이 들고 사진도 그렇게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초점을 어디에 맞추어야할지도 잘 모르겠고 결국 마음에 드는 사진을 찍기가 쉽지 않더군요.
소설가 김훈은 책 ‘자전거 여행’에서 이런 산수유 속성을 잘 묘사했습니다.
<산수유는 다만 어른거리는 꽃의 그림자로서 피어난다, 꽃송이는 보이지 않고, 꽃의 어렴풋한 기운만 파스텔처럼 산야에 번져 있다, 그래서 산수유는 꽃이 아니라 나무가 꾸는 꿈처럼 보인다.>
하나하나 산수유의 특징을 정확히 포착한 명문장들입니다. ^^ 김훈이 산수유 꽃을 ‘눈이 아프도록 들여다’ 보지 않았다면 이 같은 문장이 나오지 않았을 것입니다. 김훈은 목련에 대해서도 ‘꽃잎을 아직 오므리고 있을 때가 목련의 절정’이라는 절창을 남겼습니다. ^^
어제도 산수유 꽃이 피는 것을 보고 사진을 찍으면서 ‘어른거리는 꽃의 그림자’임을 실감했습니다. 사진을 여러 장 찍었지만 딱 이거다 싶은 사진이 잘 나오지 않았습니다. ^^
도시에서 본 노란 꽃은 산수유 꽃이지만, 등산하다 숲속에서 본 노란색 꽃은 생강나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두 나무는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색으로 피어 멀리서 보면 구분하기 정말 힘듭니다. ^^
그러나 두 나무는 일단 꽃이 피는 형태가 다릅니다. 생강나무는 줄기에 딱 붙어 짧은 꽃들이 뭉쳐 피지만, 산수유는 긴 꽃자루 끝에 노란꽃이 하나씩 핀 것이 모여 있는 형태입니다.
또 생강나무는 줄기가 비교적 매끈하지만 산수유 줄기는 껍질이 벗겨져 지저분해 보입니다. 생강나무는 산에서 자생하지만 산수유는 자생하지 않고 사람이 심는 것이기 때문에 산에서 만나는 것은 생강나무, 공원 등 사람이 가꾼 곳에 있는 나무는 산수유라고 봐도 틀리지 않을 것입니다. ^^
'꽃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산 유기방가옥엔 노란 수선화 가득 (0) | 2025.04.02 |
---|---|
산불 확산 막는 방화벽, 동백나무·아왜나무·굴참나무·황벽나무 (5) | 2025.03.27 |
국내에서 제대로 핀 바나나꽃 (5) | 2025.03.14 |
서향, 다프네의 향기 맡아보세요 ^^ (3) | 2025.03.12 |
요즘 꽃 피는 산쪽풀 “왜 난 소개 안해주나요?” ^^ (3)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