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왕벚나무 4

왕벚나무·제주왕벚나무 구분, 지금이 마지막 적기 ^^

제목처럼 지금이 왕벚나무와 제주왕벚나무는 구분할 수 있는 마지막 시기이자 적기입니다. ^^ 이게 무슨 말이고 왜 그럴까요? 먼저 왕벚나무와 제주왕벚나무에 대해 설명을 드려야겠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하얀 벚꽃을 피우는 나무는 대부분 왕벚나무입니다. 그리고 그 대부분은 일본 원산의 왕벚나무를 기반으로 육묘한 나무들입니다. ^^  원래 왕벚나무는 일본 원산인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1908년 제주도 한라산 자락에서 왕벚나무 자생지가 발견됐습니다.  그 후 일부 한국 학자들은 왕벚나무가 제주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갔을 것이라고 주장했고, 일본 학자들은 수백 년 전부터 일본에서 자생하고 있었다고 반박했습니다. 100년 이상 왕벚나무 원조 논쟁이 벌어진 겁니다. ^^ 그러다 2018년 국립수목원 주도로 유전자 분석을 한..

나무이야기 2025.03.22

우리 특산 제주왕벚나무, 여의도 벚꽃길에 심는다 ^^

머지않아 서울 여의도 벚꽃길에서도 우리나라 특산 벚나무인 제주왕벚나무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 현재의 여의도 벚꽃길은 1980년대 창경궁 복원 과정에서 왕벚나무를 여의도로 일부 옮겨 심으면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이 벚꽃길에 있는 벚나무 거의 전부가 일본 원산인 왕벚나무입니다. 여의도 일대에 있는 왕벚나무는 총 1365주인데 노령목이 많다고 합니다. 이에따라 서울 영등포구는 매년 고사목, 병충해 피해목 등 50여주를 교체해 심고 있는데, 이 교체 과정에서 점차 왕벚나무 대신 제주왕벚나무를 심겠다는 것입니다. ^^ 나무는 어디서 가져올까요? 현재 서울식물원은 제주 한라생태숲에서 제주왕벚나무 증식묘를 2차례에 걸쳐 200주 분양받아 가꾸고 있습니다. 이 나무..

꽃이야기 2024.04.03

경주 벚나무 중 우리 특산 왕벚나무는 몇 그루?

벚꽃 하는 떠오르는 곳 중 경주를 빼놓을 수 없겠죠? 경주시는 29일부터 31일까지 '대릉원 돌담길 벚꽃축제'를 열 예정입니다. ^^ 그럼 그 많은 경주 벚나무 중에서 우리나라 특산인 제주왕벚나무는 몇 그루나 있을까요? 경주시 벚나무 수천 그루 중 제주왕벚나무는 단 한 그루도 없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사단법인 왕벚프로젝트2050’(회장 신준환)은 27일 경주 유명 벚꽃길에 심은 벚나무들을 현장조사해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보문호 둘레길, 불국사 벚꽃단지, 흥무로 벚꽃길, 첨성로, 암곡동 벚꽃터널 등 9개소 왕복 약 45km 거리에 심은 벚나무 대부분은 일본 특산인 왕벚나무(소메이요시노벚나무) 로 밝혀졌습니다. 이번에 조사한 식재 벚나무 5576그루 가운데 일본 특산인 왕벚나무는 4956그루로 88...

꽃이야기 2024.03.29

참닻꽃·한국앉은부채·울릉솔송나무, 이름에 사족 붙은 식물들

식물을 공부하다보면 이름에 사족(蛇足)이 붙었다는 느낌을 주는 식물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식물 몇가지를 소개합니다. ^^ 먼저 참닻꽃(Halenia coreana). 원래 국내 자생 식물인 이 꽃 이름은 닻꽃이었습니다. 닻꽃은 우리나라만 아니라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 등에도 분포합니다. 그런데 2020년 유전자(DNA) 분석 결과, 화악산 등 국내에 자생하는 닻꽃은 우리나라에만 사는 신종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래서 학명과 국명이 기존 ‘닻꽃(Halenia corniculata)’에서 '참닻꽃(Halenia coreana)'으로 변경됐습니다. 참닻꽃은 닻꽃보다 거(距·꽃뿔)가 더 길고 좁으며 안으로 굽는다고 합니다. 문제는 신종을 등록하면서 국내 닻꽃을 참닻꽃으로, 중국·일본에 있는 닻꽃을 그냥 닻..

꽃이야기 2024.01.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