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이야기

왕벚나무·제주왕벚나무 구분, 지금이 마지막 적기 ^^

우면산 2025. 3. 22. 07:39
반응형

 

제목처럼 지금이 왕벚나무와 제주왕벚나무는 구분할 수 있는 마지막 시기이자 적기입니다. ^^ 이게 무슨 말이고 왜 그럴까요?

 

먼저 왕벚나무와 제주왕벚나무에 대해 설명을 드려야겠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하얀 벚꽃을 피우는 나무는 대부분 왕벚나무입니다. 그리고 그 대부분은 일본 원산의 왕벚나무를 기반으로 육묘한 나무들입니다. ^^

 

왕벚나무길. 서울 경의선숲길.

 

원래 왕벚나무는 일본 원산인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1908년 제주도 한라산 자락에서 왕벚나무 자생지가 발견됐습니다.

 

그 후 일부 한국 학자들은 왕벚나무가 제주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갔을 것이라고 주장했고, 일본 학자들은 수백 년 전부터 일본에서 자생하고 있었다고 반박했습니다. 100년 이상 왕벚나무 원조 논쟁이 벌어진 겁니다. ^^

 

그러다 2018년 국립수목원 주도로 유전자 분석을 한 결과, 제주도와 일본의 왕벚나무는 다른 종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한일 간 110년 왕벚나무 원조 논쟁은 이렇게 좀 싱겁게 끝났습니다. ^^

 

국가표준식물목록은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보는 왕벚나무(일본 원산)를 그냥 왕벚나무로, 제주도 한라산 자락에서 자라는 왕벚나무를 제주왕벚나무로 부르고 있습니다. ^^

 

두 나무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냐고요? 왕벚나무와 제주왕벚나무는 외관상으로 매우 유사합니다. 제주왕벚나무 겨울눈엔 털이 적은 반면, 그냥 왕벚나무 겨울눈엔 빽빽하게 나 있는 정도가 다릅니다. 꽃이나 잎, 수피로는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합니다.

 

왕벚나무(왼쪽)와 제주왕벚나무(오른쪽) 겨울눈 비교. 왕벚나무 겨울눈엔 털이 빡빡하고 제주왕벚나무 겨울눈은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다.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마침 지금이 왕벚나무와 제주왕벚나무 겨울눈을 비교할 수 있는 적기입니다. ^^ 며칠만 있으면 왕벚나무 겨울눈에 싹이 트면서 두 나무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럼 1년을 더 기다려야 왕벚나무인지 제주왕벚나무인지 구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제주왕벚나무 겨울눈.

 

다시 한번 정리하면 일본 원산의 그냥 왕벚나무는 겨울눈엔 털이 조밀하고, 제주왕벚나무 겨울눈엔 상대적으로 조밀하지 않습니다. 보통 식물에 털이 있는 것은 보온용인 경우가 많은데, 제주도는 따뜻한 털이 거의 필요없기 때문에 겨울눈에 털이 거의 없다고 생각하면 기억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

 

왕벚나무 겨울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