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이야기

용버들, 곱슬곱슬 파마한 버들 ^^

우면산 2020. 6. 20. 08:52
반응형


 

한강공원을 지나다 구불구불 용버들이 있어서 반가운 마음에 사진을 담았습니다. 아래 사진입니다.

 

한강가 용버들. 잎도 가지도 구불구불하다.

버드나무의 일종인 용버들은 가지와 잎, 줄기가 구불거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말하자면 곱슬곱슬 파마한 버들이죠. ^^ 곱슬곱슬하다고 고수버들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작은 가지도 밑으로 처지고 역시 꾸불꾸불합니다. 가지는 공예품 재료나 꽃꽂이 소재로 사용하며, 전국 어디에서나 호수나 하천변 등 습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가끔 가는 경기도 의왕 백운호수 주변 곳곳에도 구불구불 자라는 용버들이 많습니다. 국내에 있는 버드나무 종류만 40종이 넘는다는데, 용버들은 그나마 그 구불구불한 것 때문에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용버들 가지 부분.

구효서의 단편 <소금가마니>에는 용버들이 이 소설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 강인한 모성애를 보여주는 장면에 나오고 있습니다. 2005년 이효석문학상을 받은 작품입니다.

 

소설은 두부를 만들어 자식들을 먹여 살린 어머니를 회상하는 내용입니다. 어머니는 결혼 전에 사모하고 교감한 지식인 청년 박성현이 있었습니다. 결혼 즈음 이같은 사실을 안 아버지는 어머니에게 끔찍한 폭력을 가하지만 어머니는 묵묵히 참아내며 두부로 아버지와 자식들을 먹여 살립니다.

 

 

 

그런 어머니였지만, 둘째누이가 대추나무에서 떨어져 죽었을 때는 딴 사람 같았습니다. 가망없다는 아버지와 동네 사람들에게 쌍욕을 퍼부으며 아이를 둘러업고 읍내로 향한 것입니다. 그러나 읍내로 가려면 용내천을 건너야 했는데 장마로 잠겨 있었습니다. 어머니는 그날 밤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그 날(다음날) 마을 사람들과 아버지는, 용내천을 가로질러 쓰러져 있는 커다란 용수버드나무를 발견했다. 금방 잘린 듯한 나무 밑둥에는,손잡이에 핏물이 밴 톱 한 자루가 버려져 있었다. 그날을 회상할 때마다 어머니는 깊이 패인 손바닥의 상처를 들여다보곤 했다.>

 

어머니가 용내천을 건너 읍내로 내달릴 때 아이는 소생했습니다. 미친 듯 달린 어머니의 몸이 아이의 횡격막을 자극한 것입니다. ‘어머니는 아이를 부둥켜안고 진창에 주저앉아 이년아, 이년아, 하고 울었다’.

 

이 소설에 나오는 용수버드나무는 용버들을 가리키는 것 같습니다. 어머니는 용이 올라가는 것처럼 구불구불한 나무를 타고 용내천을 넘어갔을 것입니다.

 

아버지와 박성현은 전쟁이 끝난 후 각각 허망하게 죽지만, 어머니는 아흔일곱까지 천수를 누렸고, 어머니의 상여에는 ‘숨두부처럼 몽글몽글서른 명의 자손들이 따랐습니다간수를 얻기 위해 어둠과 습기를 빨아들인 소금가마니처럼, 어머니는 어둠과 습기를 기꺼이 받아들여 자식들을 사랑으로 지켜온 것입니다. 

 

초봄 새 잎과 가지가 나오고 있는 용버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