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이야기

"아빠, 이게 무슨 꽃이야?" 씀바귀를 만나다

우면산 2020. 5. 27. 06:11
반응형


 

내가 꽃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2003년 봄 무렵이다. 당시 예닐곱살 큰딸은 호기심이 많아 아파트 화단에서 흔히 피어나는 꽃을 가리키며 “아빠, 이게 무슨 꽃이야?”라고 물었다. 당시엔 그것이 무슨 꽃인지 알 길이 없었다. “나중에 알려주마” “엄마에게 물어봐라”고 넘어갔지만 딸은 나중에도 계속해서 같은 질문을 했다. 그만큼 흔한 꽃이기도 했다. 계속 얼버무리면 아빠 체통에 문제가 생길 것 같았다. 어쩔 수 없이 꽃에 대한 책을 사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찾아보니 그 꽃은 씀바귀였다.

 

딸이 그 꽃만 물어보고 말았으면 필자도 더 이상 꽃에 관심을 갖지 않았을지 모른다. 그런데 딸은 “이건 무슨 꽃이야?” “저 꽃은?” 하고 꼬리를 물고 질문을 계속해 꽃 공부를 이어갈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시작한 꽃 공부는 하면 할수록 재미가 붙었다. 주변에서 흔히 보았는데 이름을 몰랐던 꽃들을 하나하나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했다. 특히 야생화 책에서만 보았던 꽃들을 야생 상태에서 처음 보았을때, 사진을 찍어온 꽃 이름을 도감이나 인터넷 검색으로 알아냈을때, 너무 헷갈리는 두 꽃의 차이가 무엇인지 깨달았을때, 신비로울 정도로 환상적인 접사 꽃사진을 찍었을때 등의 짜릿함은 말로 표현하기 힘들 정도였다.

 

이처럼 필자를 야생화 세계로 이끈 씀바귀가 요즘 제철이다. 산 주변이나 공원은 물론, 아파트 공터, 길거리 등에서 씀바귀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쓴맛이 있으나 이른 봄에 뿌리와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씀바귀는 첫 맛은 쓴 맛이지만 오래 씹으면 단 맛이 난다고 한다. 줄기와 잎을 뜯으면 흰즙(유액)이 나오는 것이 씀바귀의 특징이다. 애기똥풀은 노란 색, 피나물은 빨간 색 유액이 나오는 것과 대조적이다.

 

그런데 오리지널 씀바귀는 의외로 보기 힘들다. 그냥 씀바귀는 한 송이 꽃에 5-8개 정도의 혀꽃이 있다. 지난 주말 안면도수목원에서 오리지널 씀바귀를 보고 반가운 마음에 사진 몇장을 담았다. 아래 사진.

 

씀바귀는 혀꽃이 5~8장으로 적은 편이다.

 

서울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노랑선씀바귀다. 씀바귀 중에서 흰꽃이 피지만 줄기가 곧게 선 것이 선씀바귀인데, 노랑선씀바귀는 흰꽃 대신 노란꽃이 피는 것이다. 요즘 화단이나 길가에 무더기로 핀 씀바귀는 대개 노랑선씀바귀다. 아래 사진은 서울 선유도공원에서 담은 것이지만 어디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꽃이다.

 

노랑선씀바귀. 혀꽃이 20개 이상으로 많다.

 

그외에도 잎이 계란 모양인 좀씀바귀, 흰 꽃이 피는 흰씀바귀,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는 벋음씀바귀, 벌판에서 자라고 잎이 화살촉 모양으로 뾰족한 벌씀바귀 등이 있다는 것도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씀바귀와 비슷하게 생긴 것이 고들빼기다. 김치를 담가먹는 그 고들빼기 맞다. 역시 요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둘은 자라는 시기와 장소는 물론 생김새도 비슷하다. 고들빼기는 잎이 둥글게 줄기를 감싸고 있는 점이 씀바귀와 다르다. 또 고들빼기의 꽃은 꽃술과 꽃잎 모두 노란색이지만, 씀바귀는 꽃잎은 노란색, 꽃술은 검은색인 점도 다르다.

 

고들빼기는 잎이 줄기를 둥글게 감싸고 꽃술도 노란색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