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주말 경남 하동군 평사리 최참판댁에 다녀왔습니다. 소설 ‘토지’의 무대를 재현해놓은 곳입니다. 평사리 최참판댁에 핀 꽃 이야기를 2회에 걸쳐 소개합니다. ^^ >
지난번 소설 ‘토지’에 나오는 꽃들에 이어 오늘은 소설에 (인상적으로) 나오지 않지만 최참판댁에 핀 꽃들 이야기입니다. 먼저 상사화입니다. 마침 상사화 시즌이어서 최참판댁만 아니라 다녀오는 내내 상사화를 많이 보았습니다. ^^

상사화는 꽃이 필 때는 잎이 없고, 잎이 있을 때는 꽃을 볼 수 없는 특이한 식물입니다. 봄에는 잎만 나와 영양분을 알뿌리에 저장해 놓고 6~7월쯤 마릅니다. 잎이 지고 난 8월쯤 꽃대가 올라와 연분홍색 꽃송이가 4~8개 정도 달립니다. 그래서 잎과 꽃이 서로 만나지 못해 그리워한다고 이름이 상사화(相思花)입니다. ^^
다음은 배롱나무입니다. 요즘은 배롱나무꽃의 계절입니다. ^^ 남도만 아니라 서울 등 전국에서 배롱나무꽃이 피어 주변을 환하게 하고 있습니다. 평사리는 남도답게 진분홍·연보라 배롱나무꽃이 많았습니다. ^^

다음은 하늘타리입니다. 하늘타리는 아래 사진과 같이 꽃잎을 현란하게 펼칩니다. 하늘타리는 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인데, 주로 남녘 따뜻한 지방의 산기슭과 들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주는 아니지만 서울에서도 주택가를 걷다 운이 좋으면 하늘타리 꽃이 피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낮에는 꽃잎을 오므리고 있다가 밤이면 5갈래 꽃잎이 펴지고 다시 실처럼 가는 꽃잎까지 현란하게 펼칩니다. 가는 꽃잎까지 펼친 모습은 정말 장관입니다. 위 사진을 담은 시간은 오후 시간대였는데, 날씨가 흐려서인지 제법 꽃잎을 펼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초가지붕에 박도 열려 있었습니다. 박은 소설 ‘토지’에서 몇번 본 기억이 있습니다. 어릴 적엔 초가집 지붕에서 박을 흔히 볼 수 있었으나, 초가지붕이 사라지면서 박꽃도 보기 힘들어졌습니다. 평사리 최참판댁에서 한 초가집에서 박이 심어 올린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흔한 참나리도 평사리 최참판댁에 피니 기품이 있어 보입니다. 박경리문학관 입구에서 초가를 배경으로 담은 사진입니다. ^^

빙글빙글 도는 듯한 마삭줄 꽃을 보고 반가웠습니다. 마삭줄 꽃은 6~7월 초여름에 피는데, 흰색으로 피어 연한 노란색으로 변해갑니다. 그런데 꽃송이들은 5장의 꽃잎이 약간씩 수레바퀴처럼 휘어져 달려 도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 여기에다 마삭줄 꽃은 향기도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겹)삼잎국화 사진도 보여드립니다. ^^


◇더 읽을거리
-꽃과 잎이 서로 그리워하는 상사화가 피었습니다
-아내가 남녘에서 보내준 하늘타리 꽃사진
'꽃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미초·삼잎국화·호장근, 북해도에서 만난 꽃과 나무들 (22) | 2022.08.12 |
---|---|
꽃 색동저고리, 북해도 '사계절 언덕' ^^ (18) | 2022.08.10 |
아름다워라, 하동 평사리 최참판댁에 핀 꽃들 ① (14) | 2022.08.05 |
남성적인 뚝갈, 여성적인 마타리 ^^ (16) | 2022.07.28 |
말나리·하늘말나리·중나리, 소백산 나리 세자매 (14) | 2022.07.22 |